■ 진행 : 함형건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형준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운지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리 사회에 심대한 영향을 끼치는 큰 흐름을 짚어보고 미래를 조망해 보는 시간입니다. 기후변화가 심화되며 겨울철 가뭄과 대형 산불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재난들이 우리 일상을 바꿔놓고 있습니다. 지구촌을 덮치고 있는 기후 재난 상황부터 향후 대비책은어떻게 마련해야 할지, 김형준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안녕하세요. 기후위기에 대해서 얘기하기에 앞서서 최근 한국의 날씨를 보면 상당히 날씨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. 아까 뉴스에서도 나왔습니다마는 밤사이에 강한 비바람 피해가 곳곳에서 발생을 했었고. 그런데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게 11월이 맞나 싶을 정도로 이상 고온현상도 지속됐거든요. 이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? <br /> <br />[김형준] <br />일단 기본적으로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다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고요. 거기에 우리가 느낄 수 있는 변동성이라고 하는 것은 올해 같은 경우는 엘니뇨 이런 것들이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 엘니뇨 같은 경우에 여름철에는 동아시아 쪽에 좀 더 많은 비를 가져오고요. 많은 비를 가져옴과 동시에 그렇기 때문에 기온은 상대적으로 살짝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요. 엘니뇨가 사실 피크는 겨울철입니다. 그래서 12월, 1월, 2월 이때가 피크가 되는데 그 영향으로 전 지구적으로 평균기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난번 출연하셨을 때도 슈퍼엘니뇨에 대해서 여러 가지 얘기를 했었는데 당시만 해도 엘니뇨의 기세가 상당히 강해질 거라고 예상들을 했었거든요. 그런데 최근 보면 엘니뇨의 세력이 좀 약화되는 것 같다, 이런 보고도 있는 것 같습니다.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? <br /> <br />[김형준] <br />맞습니다. 올 초 그다음에 올 중반까지만 해도 평균적으로 봤을 때 3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슈퍼엘니뇨가 예측이 됐었는데요. 가면 갈수록 메커니즘이 약화되면서 지금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것보다 강한 엘니뇨가 올 것이다라는 예측. 실제로 엘니뇨는 이미 발달되고 있고요. 엘니뇨라는 사실은 변함없겠지만 강도는 원래 예측했던 것보다 살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형준 (parks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110619500465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